예전 막 중국어 공부를 시작하고 한창 중국어에 심취해 있을 때 중국친구에게 이렇게 물어본적이 있다. “너가 보기에 내 중국어는 어때? 어떤 사람이 중국어를 잘하는 사람인것 같아? ” 그 중국 친구는 망설임 없이 대답했다.
“관용어구나 사자성어를 잘 활용하는 사람이 중국어를 잘하는 사람이야!”
그렇다! 결국에 중국어의 끝판왕은 관용어구나 사자성어였던 것이었다!(지극히 자의적인 판단이지만…) 즉, 결국 중국어는 관용어구나 사자성어로 귀결된다는 것. 그냥 의사소통하고 의미전달만 할 요량이면 일상 회화만으로 가능할지 몰라도, 정말 중국어를 잘하고 싶다면, 이러한 표현들을 피할 수 없는 게 사실이다.
이번 글에서는 중국어 말할 때 있어보이는 표현, 관용어구(사자성어) 100가지를 알아보겠다. 익히기 쉽게 각 어구 속 단어 뜻 및 표현의 유래까지 같이 정리하였으니 도움이 되길…
(이번 글에서 먼저 50개를 보고, 다음 글에서 나머지를 보려고 한다. –> 다음 글 : 중국어 관용어구(사자성어) 100개 #2 )
1. 破釜沉舟 (pò fǔ chén zhōu)
- 破 (pò): 깨다
- 釜 (fǔ): 솥
- 沉 (chén): 가라앉다
- 舟 (zhōu): 배
이 표현은 진나라의 장수 항우(项羽)가 전쟁에서 돌아갈 길을 막기 위해, 병사들에게 배를 가라앉히고 솥을 깨라고 명령한 데서 유래했다. 그 후 그들은 오로지 앞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었고, 결국 승리를 쟁취했다. 이 말은 “후퇴할길을끊고결연히나아가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2. 画蛇添足 (huà shé tiān zú)
- 画 (huà): 그리다
- 蛇 (shé): 뱀
- 添 (tiān): 더하다
- 足 (zú): 발
고사성어에서 유래한 이 표현은 어떤 사람이 뱀을 그리다가 쓸데없이 다리를 덧붙여서 원래의 의도를 망친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 “불필요한일을덧붙여오히려일을망치다”라는 뜻으로, 여기서 우린 때론 약간 더 모자란 게 더 좋은 법이라는 걸 알 수 있다. 과유불급!
3. 井底之蛙 (jǐng dǐ zhī wā)
- 井 (jǐng): 우물
- 底 (dǐ): 바닥
- 之 (zhī): ~의
- 蛙 (wā): 개구리
옛날에 한 개구리가 우물 안에서 평생을 살면서, 우물 안 하늘만 보고 세상의 전부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이 표현은 시야가좁고경험이부족한사람을비유하는말이다. 우물 밖 큰 세상을 보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교훈이 담겨 있다.
4. 守株待兔 (shǒu zhū dài tù)
- 守 (shǒu): 지키다
- 株 (zhū): 그루터기
- 待 (dài): 기다리다
- 兔 (tù): 토끼
한 농부가 우연히 토끼가 나무 그루터기에 부딪혀 죽는 걸 보고, 또 그런 일이 생길까 그 자리에 앉아 계속 기다렸다는 옛 이야기에서 유래한 관용구로, “운이나기회가다시오기를무작정기다리다”라는 뜻이 담겨져 있다. 인생에서스스로행동하지않고기다리기만하면아무일도일어나지않는다는교훈을담고있다.
5. 杯弓蛇影 (bēi gōng shé yǐng)
- 杯 (bēi): 컵
- 弓 (gōng): 활
- 蛇 (shé): 뱀
- 影 (yǐng): 그림자
옛날에 한 사람이 술을 마시다가 컵에 비친 활의 그림자를 보고 뱀이라고 착각했다고 한다. 그리고는 그게 자신이 병에 걸려서 그렇다고 생각하며 계속 두려워하며 지내다가 결국 정말로 병이 들어 버렸다. 즉 “별것도아닌작은문제혹은잘못된인식으로인해크게두려워하거나걱정하다”라는 뜻을 의미한다.
6. 自相矛盾 (zì xiāng máo dùn)
- 自 (zì): 스스로
- 相 (xiāng): 서로
- 矛 (máo): 창
- 盾 (dùn): 방패
이 표현은, 옛날 한 상인이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창과 방패를 팔고 있었는데, 그가 “이 방패는 어떤 창으로도 뚫을 수 없다”라고 자랑한 후, 또 다시 “이 창은 어떤 방패도 뚫을 수 있다”라고 말한 데서 유래했다. 즉, “스스로모순된주장을하다”라는 뜻으로, 서로 모순된 두 가지를 동시에 주장하는 어리석은 행태를 묘사한다.
7. 刻舟求剑 (kè zhōu qiú jiàn)
- 刻 (kè): 새기다
- 舟 (zhōu): 배
- 求 (qiú): 구하다
- 剑 (jiàn): 검
한 사람이 배에서 검을 물에 빠뜨리고, 배에 표시를 해 둔 뒤 나중에 그 자리에 와서 검을 찾으려 했지만, 물이 흘러 배가 떠내려가 검을 찾을 수 없었다는 상황을 표현하는 말으로, “융통성없이현실에맞지않는낡은생각을고집하는어리석음”을 뜻한다. 즉, 변화에 맞게 대응해야 한다는 것을 가르쳐준다.
8. 掩耳盗铃 (yǎn ěr dào líng)
- 掩 (yǎn): 덮다
- 耳 (ěr): 귀
- 盗 (dào): 훔치다
- 铃 (líng): 방울
어떤 사람이 방울을 훔치면서 방울이 울리지 않도록 귀를 막았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스스로자신을속이거나진실을외면하다”라는뜻으로, 자신을속이는어리석음을묘사한다.
9. 盲人摸象 (máng rén mō xiàng)
- 盲人 (máng rén): 맹인
- 摸 (mō): 만지다
- 象 (xiàng): 코끼리
맹인들이 코끼리의 일부분만 만지고 각자 다른 부분이 전부인양 설명한 이야기에서 나온 표현으로, 한 사람은 코끼리 다리를 만져서 기둥이라고 하고, 또 다른 사람은 코를 만져서 뱀이라고 했다고 한다. “부분적인지식으로전체를판단하는어리석음”을 표현하는 관용어구로, 전체를이해하기위해서모든부분을고려해야한다는교훈을 준다.
10. 青梅竹马 (qīng méi zhú mǎ)
- 青 (qīng): 푸르다
- 梅 (méi): 매화
- 竹 (zhú): 대나무
- 马 (mǎ): 말
어린 시절부터 함께 자란 소꿉친구를 표현하는 것으로, 소년과 소녀가 함께 자라면서 함께 놀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이것은 중국의 전통 시에서 유래되었는데, “어릴때부터친한친구나인연”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11. 草木皆兵 (cǎo mù jiē bīng)
- 草 (cǎo): 풀
- 木 (mù): 나무
- 皆 (jiē): 모두
- 兵 (bīng): 병사
옛날 전쟁에서 한 장수가 극도로 두려움을 느낀 나머지, 풀과 나무조차 병사로 착각해 보았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극도의공포감을느끼다”라는 뜻을 표현한다. 즉, 작은것에도과민반응하는상황을비유한다.
12. 高山流水 (gāo shān liú shuǐ)
- 高 (gāo): 높다
- 山 (shān): 산
- 流 (liú): 흐르다
- 水 (shuǐ): 물
이 표현은 백아(伯牙)와 종자기(钟子期)의 전설에서 유래된 것으로, 백아가 산과 물의 소리를 표현하는 연주를 했는데, 종자기가 그 의미를 즉시 완벽히 이해했다고 한다. 그 후 백아는 “나를 이해하는 사람은 오직 너뿐이야”라고 말하며, 친구를 기리기 위해 이 표현을 사용했다고 한다. 즉 “깊은우정”이나 “서로를완벽히이해하는관계”를 나타낼 때 이 표현을 쓴다.
13. 指鹿为马 (zhǐ lù wéi mǎ)
- 指 (zhǐ): 가리키다
- 鹿 (lù): 사슴
- 为 (wéi): ~으로 간주하다
- 马 (mǎ): 말
이 말은 진나라의 재상 조고(赵高)가 황제에게 사슴을 말이라고 속인 뒤, 충신들을 걸러내기 위해 사용한 계책에서 유래한 것으로, “진실을왜곡하다” 또는 “거짓으로사람을속이다”라는 뜻을 담고 있다.
14. 刻骨铭心 (kè gǔ míng xīn)
- 刻 (kè): 새기다
- 骨 (gǔ): 뼈
- 铭 (míng): 새기다
- 心 (xīn): 마음
‘뼈에 새기고 마음에 새긴다’는 이 표현은 아주 강렬하고 잊을 수 없는 경험을 나타낸다. 주로 사랑이나 슬픔, 중요한 교훈을 말할 때 쓰이며, 그경험이너무나강렬해서평생잊을수없을때쓰는표현중 하나이다.
15. 守口如瓶 (shǒu kǒu rú píng)
- 守 (shǒu): 지키다
- 口 (kǒu): 입
- 如 (rú): 같다
- 瓶 (píng): 병
‘입을 병처럼 꼭 닫다’. 이 말은 비밀을 잘 지키고 말을조심스럽게한다는뜻으로, 특히 다른사람에게말하지말아야할중요한정보를비유할 때 사용된다. 입이 꼭 닫혀서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는, 즉 입이 무거워야 한다, 비밀을남에게말하지말라는 의미로 쓰인다.
16. 水滴石穿 (shuǐ dī shí chuān)
- 水滴 (shuǐ dī): 물방울
- 石 (shí): 돌
- 穿 (chuān): 뚫다
물방울이 돌을 뚫을 수 있을까? 이 표현은 ‘작은노력이라도꾸준히하면결국큰결과를얻을수있다’는 뜻으로, 끈기와인내를 강조하는 말이다.아주작은것이라도지속적으로하면큰변화를만들수있다는교훈을 담고 있다.
17. 望梅止渴 (wàng méi zhǐ kě)
- 望 (wàng): 바라보다
- 梅 (méi): 매실
- 止 (zhǐ): 멈추다
- 渴 (kě): 갈증
이 표현은 한 장수가 갈증에 시달리는 군사들에게 매실나무가 있는 곳을 상상하게 해서 갈증을 견디게 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희망을품고어려움을견디다”라는 뜻으로, 실제로는 불가능한것을상상하며어려운상황을견디는걸말한다.
18. 杀鸡儆猴 (shā jī jǐng hóu)
- 杀 (shā): 죽이다
- 鸡 (jī): 닭
- 儆 (jǐng): 경고하다
- 猴 (hóu): 원숭이
이 표현은 “닭을 죽여 원숭이를 경고하다”라는 뜻으로, 어떤 일을경고하기위해약한상대를먼저처벌하거나희생시키는걸말한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 누구 한 명에게 본보기를 보이며 다른 직원들을 경고할 때 쓸 수 있다.
19. 九牛一毛 (jiǔ niú yī máo)
- 九 (jiǔ): 아홉
- 牛 (niú): 소
- 一 (yī): 하나
- 毛 (máo): 털
아홉 마리의 소에서 한 가닥의 털이 빠지는 건 아주 미미한 일인것처럼, 이 표현은 “아주작은부분, 하찮은것”을 의미한다. 큰문제나많은것중에서아주작은부분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20. 心猿意马 (xīn yuán yì mǎ)
- 心 (xīn): 마음
- 猿 (yuán): 원숭이
- 意 (yì): 뜻
- 马 (mǎ): 말
마음은 원숭이처럼 이리저리 뛰고, 뜻은 말처럼 달린다는 의미이다. 이 표현은 “마음이산만하고집중되지않는상태”를비유한다. 무언가에집중하기힘들때, 마음이이리저리분산되는상황을 나타낼 때 쓸 수 있다.
21. 卧虎藏龙 (wò hǔ cáng lóng)
- 卧 (wò): 눕다
- 虎 (hǔ): 호랑이
- 藏 (cáng): 숨기다
- 龙 (lóng): 용
‘숨은 호랑이와 용’이라는 이 표현은, 겉보기엔평범해보이지만사실은뛰어난재능을가진사람들이숨어있다는뜻이다. 특별한능력이나재능을가진사람이평범한곳에있을수있다는 것을 비유할 때 사용된다.
22. 顺手牵羊 (shùn shǒu qiān yáng)
- 顺手 (shùn shǒu): 손을 따라
- 牵 (qiān): 끌다
- 羊 (yáng): 양
이 표현은 “가는 길에 양을 끌고 간다”는 뜻으로, 원래는다른목적이있었지만, 우연히추가적인이익을얻거나기회를이용한다는뜻으로사용된다. 무언가를쉽게얻었을때쓸수있다.
23. 杯水车薪 (bēi shuǐ chē xīn)
- 杯 (bēi): 컵
- 水 (shuǐ): 물
- 车 (chē): 수레
- 薪 (xīn): 장작
큰 불을 끄기 위해 작은 컵의 물을 쓰는 것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작은 노력으로는 큰 문제를 해결하기 힘들다는 뜻이다. 이 표현은 노력이부족해서문제를해결할수없는상황을비유할 때 사용된다.
24. 画饼充饥 (huà bǐng chōng jī)
- 画 (huà): 그리다
- 饼 (bǐng): 떡
- 充 (chōng): 채우다
- 饥 (jī): 배고픔
이 표현은 “그린 떡으로 배고픔을 달랜다”는 뜻이다. 실속없는일로실제문제를해결하려는어리석음을 나타낼 때 쓰는 표현이다. 예를 들어, 현실성이없는계획이나생각으로당장의문제를해결하려는상황을비유할때 사용할 수 있다.
25. 投鼠忌器 (tóu shǔ jì qì)
- 投 (tóu): 던지다
- 鼠 (shǔ): 쥐
- 忌 (jì): 꺼리다
- 器 (qì): 그릇
쥐를 잡으려다가 옆에 있는 그릇이 깨질까 봐 망설이는 상황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어떤일을하려다가다른손해를볼까봐망설이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신중하게생각하고행동할때사용된다.
26. 鹤立鸡群 (hè lì jī qún)
- 鹤 (hè): 학
- 立 (lì): 서다
- 鸡群 (jī qún): 닭 무리
‘학이 닭 무리 속에 서 있다’는 이 말은, 평범한사람들사이에서아주뛰어난인물을비유한다. 특별히두드러진사람이나상황을묘사할때사용된다.
27. 夜郎自大 (yè láng zì dà)
- 夜郎 (yè láng): 예랑 (고대 중국의 작은 나라)
- 自大 (zì dà): 자만하다
옛날 중국의 작은 나라 예랑국(夜郎国)이 자기 나라가 세상에서 가장 크고 강하다고 자만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표현이다. “자신의능력이나지위에대해과도하게자만할때” 이를 두고 쓰는 표현이다.
28. 望洋兴叹 (wàng yáng xīng tàn)
- 望 (wàng): 바라보다
- 洋 (yáng): 큰 바다
- 兴叹 (xīng tàn): 탄식하다
“바다를보며탄식한다”는 이 표현은 자신의능력이나힘이부족함을느끼고안타까워하는상황을 나타내는 것으로, 큰일을이루기에는능력이부족함을깨닫고탄식하는걸비유한다.
29. 愚公移山 (yú gōng yí shān)
- 愚公 (yú gōng): 어리석은 노인
- 移 (yí): 옮기다
- 山 (shān): 산
옛날에 우공이라는 노인이 있었는데, 가족과 함께 산을 옮기겠다고 다짐했다. 사람들은 비웃었지만 그는 결코 포기하지 않았고 자신의 길을 끝까지 갔고, 결국 신이 그의 인내심에 감동해 산을 옮겨 주었다고 한다. 이와같이, 이 표현은 “끈기와인내를가지고불가능해보이는일도끝까지해내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30. 铁杵磨针 (tiě chǔ mó zhēn)
- 铁 (tiě): 철
- 杵 (chǔ): 방망이
- 磨 (mó): 갈다
- 针 (zhēn): 바늘
철 방망이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이 표현은, 꾸준한노력과인내로어려운일을해내는것을상징한다. 처음에는 불가능해보이는일도끝까지하다보면이루어진다는교훈을 준다.
31. 不寒而栗 (bù hán ér lì)
- 不 (bù): ~하지 않다
- 寒 (hán): 춥다
- 而 (ér): 그런데도
- 栗 (lì): 떨다
추운 것도 아닌데 몸이 떨린다는 이 표현은, 극도의공포나불안으로인해몸이떨리는상황을 묘사한다. 무서운일이나두려운상황을맞닥뜨렸을때주로 사용한다.
32. 水落石出 (shuǐ luò shí chū)
- 水 (shuǐ): 물
- 落 (luò): 떨어지다
- 石 (shí): 돌
- 出 (chū): 드러나다
물이 빠져나가면 돌이 드러난다는 이 표현은, 시간이지나면모든진실이밝혀진다는의미를 담고 있다. 어떤일이든결국에는진실이드러나게된다는교훈을 담고 있다.
33. 掩耳盗铃 (yǎn ěr dào líng)
- 掩 (yǎn): 덮다
- 耳 (ěr): 귀
- 盗 (dào): 훔치다
- 铃 (líng): 방울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이 표현은, 진실을외면하거나스스로속이는어리석은행동을비유한다. 누군가가자신의잘못을인정하지않고, 눈앞의현실을무시하려할때 주로 사용된다.
34. 风声鹤唳 (fēng shēng hè lì)
- 风 (fēng): 바람
- 声 (shēng): 소리
- 鹤 (hè): 학
- 唳 (lì): 울다
진나라 병사들이 적의 추격을 두려워한 나머지, 바람 소리와 학의 울음소리조차 적의 공격으로 착각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된 표현이다. 이는 “극도로공포에질려있는상태”를 나타낸다.
35. 指桑骂槐 (zhǐ sāng mà huái)
- 指 (zhǐ): 가리키다
- 桑 (sāng): 뽕나무
- 骂 (mà): 욕하다
- 槐 (huái): 회화나무
뽕나무를 가리키며 회화나무를 욕한다는 이 표현은, 특정대상을직접언급하지않고돌려서비판하는걸말한다. 어떤 사람을 직접적으로 비난하지 않고 돌려서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36. 卧薪尝胆 (wò xīn cháng dǎn)
- 卧 (wò): 눕다
- 薪 (xīn): 장작
- 尝 (cháng): 맛보다
- 胆 (dǎn): 쓸개
월나라 왕 구천(勾践)이 복수를 위해 쓴 장작 위에서 자고 쓴 쓸개를 맛보며 고난을 견뎠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복수를위해고통을견디며준비하다”라는 뜻을 담고 있다. 즉, 어려운상황을참아내며큰목표를이루기위해노력하는모습을 나타낸다.
37. 百发百中 (bǎi fā bǎi zhòng)
- 百 (bǎi): 백 번
- 发 (fā): 쏘다
- 中 (zhòng): 맞추다
백 번 쏘아 백 번 맞춘다는 이 표현은, 어떤일이든정확하게성공적으로이루어진다는뜻이다. 주로 목표나 계획을 완벽하게 달성할 때 사용된다.
38. 成也萧何,败也萧何 (chéng yě xiāo hé, bài yě xiāo hé)
- 成 (chéng): 이루다
- 也 (yě): 또한
- 萧何 (xiāo hé): 소하 (인명)
- 败 (bài): 패배하다
한신(韩信)이 소하(萧何)의 도움으로 성공했지만, 나중에 소하에게 배신당해 패배한 이야기에서 나온 표현이다. 이 말은 “어떤사람덕분에성공했지만, 결국그사람때문에실패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39. 乐极生悲 (lè jí shēng bēi)
- 乐 (lè): 기쁨
- 极 (jí): 극에 달하다
- 生 (shēng): 생기다
- 悲 (bēi): 슬픔
기쁨이 극에 달하면 슬픔이 찾아온다는 이 표현은, 너무행복하거나기뻐하다가오히려불행이나슬픔을맞이할수있다는경고적 표현이다. 지나친행복이나자만이불행을초래할수있다는교훈을 담고 있다.
40. 金玉其外,败絮其中 (jīn yù qí wài, bài xù qí zhōng)
- 金 (jīn): 금
- 玉 (yù): 옥
- 其外 (qí wài): 겉
- 败 (bài): 썩다
- 絮 (xù): 솜
- 其中 (qí zhōng): 속
겉은 금과 옥으로 아름답지만, 속은 썩은 솜이라는 뜻이다. 이 표현은 “겉은화려하지만속은형편없다”는 의미로, 겉모습에 속지 말라는 교훈을 담고 있다.
41. 一箭双雕 (yī jiàn shuāng diāo)
- 一 (yī): 하나
- 箭 (jiàn): 화살
- 双 (shuāng): 두 개
- 雕 (diāo): 독수리
하나의 화살로 두 마리의 독수리를 잡는다는 이 표현은, 한번의행동으로두가지목표를달성하는걸비유한다. “일석이조”라는 말과 비슷하다.
42. 指鹿为马 (zhǐ lù wéi mǎ)
- 指 (zhǐ): 가리키다
- 鹿 (lù): 사슴
- 为 (wéi): ~로 여기다
- 马 (mǎ): 말
진나라의 재상 조고(赵高)가 사슴을 가리키며 황제에게 말이라고 속인 이야기에서 유래한 표현이다. 이 말은 “진실을왜곡하다” 또는 “거짓말로사람을속이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43. 桃李满天下 (táo lǐ mǎn tiān xià)
- 桃 (táo): 복숭아
- 李 (lǐ): 자두
- 满 (mǎn): 가득 차다
- 天下 (tiān xià): 온 세상
복숭아와 자두가 온 세상에 가득하다는 이 표현은, 스승이가르친제자들이세상에널리퍼져있다는의미이다. 주로교육이나학문에서스승의성공을상징한다.
44. 焚书坑儒 (fén shū kēng rú)
- 焚 (fén): 불태우다
- 书 (shū): 책
- 坑 (kēng): 묻다
- 儒 (rú): 유학자
진나라 황제 진시황(秦始皇)이 유학자들을 탄압하고, 책을 불태우며 그들을 생매장한 사건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지식을억압하거나지성인을탄압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45. 塞翁失马,焉知非福 (sài wēng shī mǎ, yān zhī fēi fú)
- 塞翁 (sài wēng): 변방의 노인
- 失 (shī): 잃다
- 马 (mǎ): 말
- 焉知 (yān zhī): 어찌 알겠는가
- 非福 (fēi fú): 복이 아닌지
변방의 노인이 말을 잃었을 때, 주변 사람들이 걱정했지만 노인은 오히려 그것이 복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고, 나중에 그 말이 돌아오면서 정말 더 좋은 일이 생겨버렸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겉보기에는불행해보이는일이나중에복이될수있다”라는 의미이다.
46. 杞人忧天 (qǐ rén yōu tiān)
- 杞 (qǐ): 기나라
- 人 (rén): 사람
- 忧 (yōu): 걱정하다
- 天 (tiān): 하늘
기나라의 한 사람이 하늘이 무너질까 봐 걱정했다는 이야기에서 나온 표현으로, “불필요한걱정을하다”라는 뜻을 담고 있다. 즉, 쓸데없는걱정을하지말라는교훈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47. 鹬蚌相争 (yù bàng xiāng zhēng)
- 鹬 (yù): 도요새
- 蚌 (bàng): 조개
- 相 (xiāng): 서로
- 争 (zhēng): 다투다
이 표현은 “도요새와 조개가 서로 다투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고사에서 유래한 이야기이다. 도요새가 조개의 살을 먹으려고 쪼아대자 조개가 껍질을 닫아 도요새의 부리를 물어 버렸고, 결국 둘 다 움직이지 못하게 되자, 조금 뒤 어부가 나타나 둘 다 잡아가 버렸다고 한다. 이 표현은 “서로싸우다가결국제삼자가이익을얻는다”는 의미로, 쓸데없이다툼을벌이는사람들에게하는경고의뜻으로 사용된다.
48. 围魏救赵 (wéi wèi jiù zhào)
- 围 (wéi): 포위하다
- 魏 (wèi): 위나라
- 救 (jiù): 구하다
- 赵 (zhào): 조나라
이 표현은 손빈(孙膑)이 위나라를 포위해서 조나라를 구출한 전략에서 나온 말으로, “한쪽을 공격해서 다른 쪽을 구하다”라는 의미로, 적의약점을공격하여자신의목표를달성하는전략을 나타낸다.
49. 买椟还珠 (mǎi dú huán zhū)
- 买 (mǎi): 사다
- 椟 (dú): 상자
- 还 (huán): 돌려주다
- 珠 (zhū): 진주
이 표현은 상자를 사고 진주를 돌려주는, 즉 본질보다는겉모습에더집착하는어리석음을 말한다. 어떤 사람이 상자에 너무 집중해서 진주를 돌려준 이야기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겉모습에현혹되어본질을놓치는것”을 경계하라는 뜻을 담고 있다.
50. 坐井观天 (zuò jǐng guān tiān)
- 坐 (zuò): 앉다
- 井 (jǐng): 우물
- 观 (guān): 보다
- 天 (tiān): 하늘
우물에 앉아서 하늘을 보는 것처럼, 시야가좁은사람을비유하는 말이다. 자신의한정된경험만으로세상을판단하는사람을 경고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상으로 중국어 관용어구(사자성어) 100가지 #1을 먼저 살펴봤다.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나머지 #2는 아래 링크로 들어가면 되겠다.
(다음 글 : 중국어 관용어구(사자성어) 100개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