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편의 중국어 관용어구(사자성어) #1에 이어 나머지 50개를 이어서 보겠다. 자주 써보고 익숙해져 보시길…
(이전 글 : 중국어 관용어구(사자성어) 100개 #1)
51. 门庭若市 (mén tíng ruò shì)
- 门 (mén): 문
- 庭 (tíng): 뜰
- 若 (ruò): 마치 ~인 듯
- 市 (shì): 시장
문 앞 뜰이 시장처럼 북적거린다는 뜻이다. 이는 사람이많아서아주번잡하고시끌벅적한상황을 비유할 때 사용된다.
52. 自食其果 (zì shí qí guǒ)
- 自 (zì): 스스로
- 食 (shí): 먹다
- 其 (qí): 그
- 果 (guǒ): 열매
이 표현은 “자신이뿌린씨를자신이거두다”는 뜻으로, 자신이한행동에대한결과를스스로감당해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주로 자업자득을 말할 때 사용된다.
53. 拔苗助长 (bá miáo zhù zhǎng)
- 拔 (bá): 뽑다
- 苗 (miáo): 묘목
- 助 (zhù): 돕다
- 长 (zhǎng): 자라다
어떤 농부가 식물이 빨리 자라길 원해서 묘목을 뽑아 올린 결과, 식물이 모두 시들어 버린 이야기에서 유래한 표현이다. “너무 서두르거나 억지로 일을 추진하면 오히려 망친다”는 뜻이다.
54. 投桃报李 (tóu táo bào lǐ)
- 投 (tóu): 던지다
- 桃 (táo): 복숭아
- 报 (bào): 보답하다
- 李 (lǐ): 자두
누군가 복숭아를 던져주면 자두로 보답한다는 뜻으로, “친절을 베풀면 그에 대한 보답이 돌아온다”는 의미로, 선의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55. 骑驴找马 (qí lǘ zhǎo mǎ)
- 骑 (qí): 타다
- 驴 (lǘ): 당나귀
- 找 (zhǎo): 찾다
- 马 (mǎ): 말
이 표현은 “당나귀를 타면서 말을 찾는다”는 뜻이다. 이 말은 당장은 적당한 것을 선택했지만, 더 좋은 기회를 여전히 찾고 있다는 상황을 비유한다. 주로 일이나 상황에서 현재의 것을 활용하면서 더 나은 것을 찾아보려는 사람들을 묘사할 때 쓴다. 예를 들어, 누군가 지금 직업이 있지만 더 나은 직업을 찾고 있을 경우 사용할 수 있.
56. 花容月貌 (huā róng yuè mào)
- 花 (huā): 꽃
- 容 (róng): 얼굴
- 月 (yuè): 달
- 貌 (mào): 용모
이 표현은 “꽃처럼 아름답고 달처럼 빛나는 얼굴”이라는 뜻이다. 주로 여자의 아름다움을 칭찬할 때 사용된다.
57. 狐假虎威 (hú jiǎ hǔ wēi)
- 狐 (hú): 여우
- 假 (jiǎ): 빌리다
- 虎 (hǔ): 호랑이
- 威 (wēi): 위세
이 표현은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다른 동물들을 두려워하게 만든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자신의 힘이 아닌 다른 사람의 권력을 빌려 위세를 부리는 상황을 비유할 때 사용된다.
58. 东施效颦 (dōng shī xiào pín)
- 东施 (dōng shī): 동시 (한 여인의 이름)
- 效 (xiào): 따라 하다
- 颦 (pín): 찡그리다
이 표현은 “동시(东施)가 찡그리는 것을 흉내 내다”라는 뜻으로, 고사에서 유래한 이야기이다. 서시(西施)라는 아름다운 여인이 가슴 통증으로 얼굴을 찡그렸는데도 그 모습이 너무나 아름다웠다고 한다. 그런데 이걸 보고 동시라는 여자가 서시의 찡그린 표정을 흉내 내면 자신도 아름다워 보일 거라고 생각하고 따라 했다. 하지만 오히려 우스꽝스럽고 흉하게 보였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무턱대고 남을 따라 하다가 오히려 상황을 더 나쁘게 만들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59. 亡羊补牢 (wáng yáng bǔ láo)
- 亡 (wáng): 잃다
- 羊 (yáng): 양
- 补 (bǔ): 수리하다
- 牢 (láo): 우리
양을 잃고 나서야 우리를 고친다는 이 표현은, 일이 잘못된 후에야 비로소 대비책을 세운다는 뜻이다. 비록 일이 잘못되었더라도 늦지 않게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교훈을 준다.
60. 纸上谈兵 (zhǐ shàng tán bīng)
- 纸 (zhǐ): 종이
- 上 (shàng): 위
- 谈 (tán): 이야기하다
- 兵 (bīng): 병사, 전쟁
이 표현은 “종이 위에서 전쟁을 이야기하다”라는 뜻으로, 중국 전설에서 유명한 전략가 조괄(赵括)이 전쟁의 이론에는 밝았지만 실제 전투에서는 실패한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그는 전쟁을 실제로 치르는 대신, 책과 이론에만 의존했기 때문에 결국 큰 패배를 당하게 되었다. 이 표현은 “이론적으로만 문제를 논의하고 실제로는 적용하지 못하다”는 뜻이다. 말로만 많은 것을 알고 있지만, 실제 경험이나 실천이 부족한 사람에게 쓰이는 표현이다.
61. 一败涂地 (yī bài tú dì)
- 一 (yī): 한 번
- 败 (bài): 패배하다
- 涂地 (tú dì): 땅에 진흙이 묻다
한 번의 패배로 땅에 진흙이 묻듯이 완전히 망했다는 뜻이다. 이 표현은 “완전히 패배하다” 또는 “크게 실패하다”라는 의미로, 특히 큰 손실이나 회복할 수 없는 실패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62. 按图索骥 (àn tú suǒ jì)
- 按 (àn): 따르다
- 图 (tú): 그림
- 索 (suǒ): 찾다
- 骥 (jì): 명마, 준마
이 표현은 “그림을 보고 준마를 찾다”라는 뜻으로,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다. 한 사람이 명마를 찾기 위해 책에 그려진 그림만을 믿고 그대로 따라갔다가 오히려 찾지 못했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됐다. 이 표현은 “고지식하게 책이나 규칙에만 의존하여 융통성 없이 행동하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즉,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교훈을 준다.
63. 枯鱼之肆 (kū yú zhī sì)
- 枯 (kū): 말라버린
- 鱼 (yú): 물고기
- 之 (zhī): ~의
- 肆 (sì): 가게
말라버린 물고기가 진열된 가게라는 이 표현은, 이미 사라진 것을 비유하는 것으로, 가망이 없는 상황이나 이미 늦어버린 일을 표현할 때 사용할 수 있다.
64. 悬梁刺股 (xuán liáng cì gǔ)
- 悬 (xuán): 매달다
- 梁 (liáng): 대들보
- 刺 (cì): 찌르다
- 股 (gǔ): 허벅지
이 표현은 “대들보에 머리를 매달고 허벅지를 찌르다”라는 뜻으로,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다. 옛날 학자들이 졸음을 이겨내며 공부하기 위해 한 사람은 대들보에 머리카락을 매달고, 다른 사람은 졸음이 올 때마다 허벅지를 찔렀다고 한 것에서 유래했다. 이 표현은 “열심히 노력하고 고생하며 공부하다”라는 뜻으로, 학문에 대한 굳은 결심과 노력을 상징하는 말이다.
65. 一石二鸟 (yī shí èr niǎo)
- 一 (yī): 하나
- 石 (shí): 돌
- 二 (èr): 두 개
- 鸟 (niǎo): 새
하나의 돌로 두 마리의 새를 잡는다는 이 표현은, 한 번의 행동으로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는 걸 비유한다. 영어의 “일석이조“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66. 闻过则喜 (wén guò zé xǐ)
- 闻 (wén): 듣다
- 过 (guò): 잘못, 과오
- 则 (zé): 그러면
- 喜 (xǐ): 기뻐하다
이 표현은 “잘못을 들으면 기뻐하다”라는 뜻이다. 이 관용어구는 자신이 잘못한 점이나 결점을 들었을 때 화를 내거나 불쾌하게 생각하지 않고, 오히려 이를 받아들이고 고쳐 나가는 것을 기뻐한다는 의미이다. 즉, 자기 발전을 위해 비판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태도를 칭찬하는 말이다.
67. 水中捞月 (shuǐ zhōng lāo yuè)
- 水 (shuǐ): 물
- 中 (zhōng): 속
- 捞 (lāo): 건지다
- 月 (yuè): 달
이 표현은 “물속에서 달을 건지다”라는 뜻으로, 물속에 비친 달을 진짜 달로 착각하고 건지려는 어리석은 행동을 의미한다. 이 고사는 불가능한 일을 시도하거나, 헛된 노력을 기울이는 상황을 나타내는 것으로,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목표를 추구하거나 환상을 쫓는 것을 경고하는 말이다.
68. 呆若木鸡 (dāi ruò mù jī)
- 呆 (dāi): 멍하다
- 若 (ruò): 마치
- 木 (mù): 나무
- 鸡 (jī): 닭
이 표현은 “나무 닭처럼 멍하다”라는 뜻이다. 고사에서 유래한 이야기로, 한 사람이 싸움닭을 훈련시키면서 닭이 너무나 침착하고 멍하니 나무 조각처럼 보였다고 한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사실 그 닭은 완벽히 훈련되어 어떤 자극에도 움직이지 않게 되었던 것이었다. 이 표현은 “놀라거나 충격을 받아 멍해지다“라는 의미로, 뜻밖의 상황에서 아무런 반응을 하지 못하는 상태를 묘사한다.
69. 百闻不如一见 (bǎi wén bù rú yī jiàn)
- 百 (bǎi): 백 번
- 闻 (wén): 듣다
- 不如 (bù rú): ~보다 못하다
- 一见 (yī jiàn): 한 번 보다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는 이 표현은, 경험을 통해 직접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뜻이다. 어떤 일이든 직접 체험해 보는 것이 가장 확실하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70. 兔死狗烹 (tù sǐ gǒu pēng)
- 兔 (tù): 토끼
- 死 (sǐ): 죽다
- 狗 (gǒu): 개
- 烹 (pēng): 끓이다
토끼를 잡으면 사냥개는 필요 없다는 이 표현은, 목적이 달성되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사람이나 도구를 버린다는 뜻이다. 필요할 때만 이용하고 나중에 버리는 상황을 비유할 때 쓴다.
71. 骑牛觅马 (qí niú mì mǎ)
- 骑 (qí): 타다
- 牛 (niú): 소
- 觅 (mì): 찾다
- 马 (mǎ): 말
이 표현은 “소를 타고 말을 찾다”라는 뜻이다. 당장의 것을 사용하면서도 더 나은 것을 찾는다는 의미로, 현재 가진 것에 만족하지 않고 더 좋은 기회를 탐색하는 상황을 비유한다. 주로 직업이나 연애 등에서 현재의 상태에 만족하지 않고 더 나은 것을 찾으려 할 때 사용된다.
72. 一饭千金 (yī fàn qiān jīn)
- 一 (yī): 한 끼
- 饭 (fàn): 밥
- 千 (qiān): 천
- 金 (jīn): 금
이 표현은 “한 끼 밥에 천금을 갚는다”는 뜻이다. 옛날에 한 장수가 가난한 시절에 한 농부에게 밥을 대접받았는데, 나중에 장군이 된 후 농부에게 은혜를 갚기 위해 천금을 준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이 말은 작은 은혜도 결코 잊지 않고 크게 보답한다는 뜻이다. “작은 친절에 대한 깊은 감사”를 표현할 때 사용된다.
73. 唇亡齿寒 (chún wáng chǐ hán)
- 唇 (chún): 입술
- 亡 (wáng): 없어지다
- 齿 (chǐ): 이
- 寒 (hán): 차갑다, 춥다
이 표현은 “입술이 없어지면 이가 춥다”는 뜻으로, 고사에서 유래한 이야기이다. 입술이 없으면 이가 보호받지 못해 추위를 느낀다는 비유,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는 두 존재 중 하나가 없어지면, 다른 하나도 위험에 처하게 된다는 뜻으로, 주로 국가나 조직, 사람 간의 긴밀한 관계를 강조할 때 사용된다.
74. 愚者千虑,必有一得 (yú zhě qiān lǜ, bì yǒu yī dé)
- 愚者 (yú zhě): 어리석은 사람
- 千虑 (qiān lǜ): 천 번의 생각
- 必 (bì): 반드시
- 有 (yǒu): 있다
- 一得 (yī dé): 하나의 성과
어리석은 사람도 천 번 생각하면 반드시 하나의 성과가 있다는 이 표현은, 아무리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꾸준히 생각하고 노력하면 결국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75. 囊萤映雪 (náng yíng yìng xuě)
- 囊 (náng): 주머니
- 萤 (yíng): 반딧불
- 映 (yìng): 비추다
- 雪 (xuě): 눈
이 말은 옛날에 한 학생이 가난해서 밤에 공부할 때 반딧불을 모아 주머니에 넣고 공부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학문에 열중하다”는 의미로, 학업에 대한 끈기와 인내를 강조하는 표현이다.
76. 瓜田李下 (guā tián lǐ xià)
- 瓜田 (guā tián): 오이밭
- 李下 (lǐ xià): 자두나무 아래
오이밭에서 신발을 고쳐 신지 말고, 자두나무 아래에서 모자를 고쳐 쓰지 말라는 말에서 유래했다. 이는 다른 사람에게 오해받기 쉬운 상황을 피하라는 뜻이다. 즉, 의심받을 만한 행동을 하지 말라는 교훈을 담고 있다.
77. 水火不容 (shuǐ huǒ bù róng)
- 水 (shuǐ): 물
- 火 (huǒ): 불
- 不容 (bù róng): 용납하지 않다
물과 불은 함께 할 수 없다는 이 표현은, 서로 상반되거나 절대로 공존할 수 없는 상황을 나타내는 것으로, 두 가지가 절대로 함께 할 수 없는 경우를 묘사할 때 사용된다.
78. 三人成虎 (sān rén chéng hǔ)
- 三 (sān): 셋
- 人 (rén): 사람
- 成 (chéng): 이루다
- 虎 (hǔ): 호랑이
세 사람이 호랑이 있다고 하면 정말 호랑이가 나타난다는 이 말은, 많은 사람이 같은 말을 하면 거짓도 진실이 될 수 있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잘못된 정보라도 반복되면 사람들이 믿게 된다는 교훈을 준다.
79. 熟能生巧 (shú néng shēng qiǎo)
- 熟 (shú): 익숙하다
- 能 (néng): 할 수 있다
- 生 (shēng): 만들어내다
- 巧 (qiǎo): 기교
익숙해지면 기교가 생긴다는 이 표현은, 무언가를 반복적으로 연습하면 능숙해지고 더 나은 기술을 얻게 된다는 의미이다. 연습이 완벽을 만든다는 걸 강조할 때 사용할 수 있다.
80. 釜底抽薪 (fǔ dǐ chōu xīn)
- 釜 (fǔ): 솥
- 底 (dǐ): 밑바닥
- 抽 (chōu): 빼다
- 薪 (xīn): 장작
솥 아래의 장작을 빼내면 불이 꺼진다는 표현으로, 어떠한 상황에 있어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겉으로 드러난 문제만 해결하는 게 아니라, 문제의 근본 원인을 해결해야 한다는 교훈을 준다.
81. 打草惊蛇 (dǎ cǎo jīng shé)
- 打 (dǎ): 치다
- 草 (cǎo): 풀
- 惊 (jīng): 놀라게 하다
- 蛇 (shé): 뱀
풀을 치면 뱀이 놀라 달아난다는 이 말은, 어떤 일을 하다가 상대방을 경계하게 만들어 미리 준비하게 만드는 걸 비유한다. 계획을 미리 살짝 알려주어 경계심을 불러일으킬 때 사용된다.
82. 图穷匕见 (tú qióng bǐ xiàn)
- 图 (tú): 그림
- 穷 (qióng): 끝나다
- 匕 (bǐ): 비수
- 见 (xiàn): 드러나다
이 말은 ‘그림의 끝에서 비수가 드러나다’는 뜻이다. 사건이나 상황이 끝에 이르렀을 때 진실이나 숨겨진 의도가 드러난다는 의미로, 마치 마지막 순간에 숨겨진 칼이 나타난다는 뜻이다. 은밀하게 계획된 음모나 의도가 드러나는 것을 비유할 때 사용된다.
83. 自作自受 (zì zuò zì shòu)
- 自 (zì): 스스로
- 作 (zuò): 만들다
- 受 (shòu): 받다
자신이 만든 일을 스스로 감당해야 한다는 이 말은, 자기가 저지른 잘못이나 행위에 대해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한다는 뜻이다. 어떤 행동의 결과를 자신이 직접 감수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
84. 口是心非 (kǒu shì xīn fēi)
- 口 (kǒu): 입
- 是 (shì): 그러하다
- 心 (xīn): 마음
- 非 (fēi): 아니다
이 표현은 ‘입으로는 옳다고 하지만 마음속으로는 그렇지 않다’는 뜻을 나타낸다. 겉으로는 동의하거나 찬성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속마음은 전혀 다르게 생각하는 것을 비유한다. 위선적인 행동이나 속마음을 감추는 상황에서 사용된다.
85. 乘风破浪 (chéng fēng pò làng)
- 乘 (chéng): 타다
- 风 (fēng): 바람
- 破 (pò): 부수다
- 浪 (làng): 파도
이 표현은 ‘바람을 타고 파도를 헤치다’는 뜻이다. 어려움을 극복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비유한 것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전진하는 사람에게 격려의 의미로 사용할 될 수 있다.
86. 咬文嚼字 (yǎo wén jiáo zì)
- 咬 (yǎo): 물다
- 文 (wén): 글자
- 嚼 (jiáo): 씹다
- 字 (zì): 글자
이 말은 ‘글자를 물고 씹는다’는 뜻으로, 지나치게 세부적인 것에 집착하거나 말이나 글의 표현에 지나치게 신경 쓰는 사람을 비유한다. 의미보다는 단어의 형태에만 집착하는 상황에서 주로 사용할 수 있다.
87. 杯水车薪 (bēi shuǐ chē xīn)
- 杯 (bēi): 컵
- 水 (shuǐ): 물
- 车 (chē): 수레
- 薪 (xīn): 장작
큰 장작 더미에 작은 컵의 물로 불을 끄려는 것처럼, 작은 노력으로 큰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은 무리라는 뜻이다. 이 표현은 노력이 부족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을 비유할 때 주로 사용된다.
88. 白云苍狗 (bái yún cāng gǒu)
- 白 (bái): 흰색
- 云 (yún): 구름
- 苍 (cāng): 푸르다
- 狗 (gǒu): 개
이 표현은 “흰 구름이 푸른 개로 변하다”라는 뜻이다. 구름이 모양을 변화시키는 것처럼, 세상의 모든 것은 빠르고 예측할 수 없게 변한다는 의미에서 나온 표현이다. 즉, “세상의 변화가 무쌍하다”는 뜻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든 것이 변하기 마련임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89. 登堂入室 (dēng táng rù shì)
- 登 (dēng): 오르다
- 堂 (táng): 대청
- 入 (rù): 들어가다
- 室 (shì): 방
이 표현은 “대청을 지나 방으로 들어가다”라는 뜻으로, 고사에서 유래했다. 학문이나 기술을 어느 정도 익힌 후에 더 깊이 있는 단계에 도달한다는 의미로, 단순히 시작 단계에서 머무르지 않고, 깊은 수준으로 발전하는 것을 비유할 때 사용된다. 즉, 어떤 분야에서 숙련된 경지에 오르거나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을 때 쓰이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90. 青出于蓝 (qīng chū yú lán)
- 青 (qīng): 푸르다
- 出 (chū): 나오다
- 于 (yú): ~에서
- 蓝 (lán): 남색
우리가 잘 아는, “청출어람“, 이 말은 푸른색이 남색에서 나왔지만 남색보다 더 푸르다는 뜻이다. 이 표현은 제자가 스승을 능가하는 상황을 비유할 때 사용된다. 배움을 통해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91. 扑朔迷离 (pū shuò mí lí)
- 扑朔 (pū shuò): 암컷 토끼가 앞발로 흙을 헤치다
- 迷离 (mí lí): 어지럽고 혼란스럽다
이 표현은 고대 중국의 이야기에서 유래됐다. 토끼의 성별을 구분하기가 어려워 암컷이 앞발로 흙을 헤치는 동작에서 비롯되었는데, “扑朔迷离”는 상황이 매우 혼란스러워 분간하기 어렵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현대에 와서는 “진상을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나 “복잡하게 얽혀 있어서 명확하지 않은 것”을 비유할 때 많이 사용되곤 한다.
92. 凤凰于飞 (fèng huáng yú fēi)
- 凤凰 (fèng huáng): 봉황
- 于 (yú): ~에서
- 飞 (fēi): 날다
이 표현은 “봉황이 함께 날다”라는 뜻으로, 봉황은 전설 속에서 남자와 여자를 상징하는 한 쌍의 신성한 새로 여겨졌는데, 주로 결혼이나 아주 조화로운 관계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부부가 서로 함께하는 모습을 묘사하거나, 두 사람이 잘 어울려서 행복한 미래를 상징할 때 쓰이곤 한다.
93. 闻鸡起舞 (wén jī qǐ wǔ)
- 闻 (wén): 듣다
- 鸡 (jī): 닭
- 起 (qǐ): 일어나다
- 舞 (wǔ): 춤추다
옛날에 어떤 장수가 닭 울음소리를 듣고 바로 일어나 훈련을 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표현이다. 그래서 이 말은 부지런하고 성실하게 살아가는 태도를 강조할 때 주로 쓰인다.
94. 卧冰求鲤 (wò bīng qiú lǐ)
- 卧 (wò): 눕다
- 冰 (bīng): 얼음
- 求 (qiú): 구하다
- 鲤 (lǐ): 잉어
이 표현은 “얼음 위에 누워 잉어를 구하다”라는 뜻인데 고사에서 유래한 이야기로, 한 효자가 그의 병든 어머니를 위해 겨울에 잉어를 먹이고자 얼음 위에 누웠고, 그 효심으로 인해 얼음이 녹고 잉어가 나타났다는 전설에서 유래했다. 즉, 극진한 효심을 표현 할 때 사용되며, 부모를 위해 어떤 고난도 마다하지 않는 마음을 표현한다.
95. 草船借箭 (cǎo chuán jiè jiàn)
- 草 (cǎo): 풀
- 船 (chuán): 배
- 借 (jiè): 빌리다
- 箭 (jiàn): 화살
삼국지에 나오는 제갈량이 적의 화살을 끌어모으기 위해 풀로 만든 배를 강에 띄워 화살을 빌린 이야기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지혜롭게 적의 자원을 활용하여 자신의 목적을 달성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어떤 어려운 상황에서도 지혜롭게 대처해 성공을 거두는 것을 비유할 때 사용된다.
96. 骑鹤归西 (qí hè guī xī)
- 骑 (qí): 타다
- 鹤 (hè): 학
- 归 (guī): 돌아가다
- 西 (xī): 서쪽, 즉 저승
이 표현은 “학을 타고 서쪽으로 돌아가다”라는 뜻으로, 죽음을 비유하는 표현이다. 고대 중국에서 학은 불사의 상징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학을 타고 저승으로 간다는 것은 고귀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것을 의미하곤 했다. 주로 우아하게 세상을 떠나는 것을 비유하거나, 죽음을 덜 두려운 것으로 묘사할 때 사용되었다.
97. 叶公好龙 (yè gōng hào lóng)
- 叶公 (yè gōng): 엽공 (사람 이름)
- 好 (hào): 좋아하다
- 龙 (lóng): 용
이 표현은 “엽공은 용을 좋아한다”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용이 나타나면 두려워한다는 고사에서 유래했다. 엽공이라는 사람이 용을 아주 좋아해서 집안 곳곳에 용의 그림과 조각을 장식했는데, 정작 진짜 용이 나타나자 겁에 질려 도망갔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겉으로는 좋아하는 척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뜻으로, 말과 행동이 다르거나 겉치레만 하는 사람을 비유할 때 사용되곤 한다.
98. 呕心沥血 (ǒu xīn lì xuè)
- 呕 (ǒu): 토하다
- 心 (xīn): 마음
- 沥 (lì): 떨어뜨리다
- 血 (xuè): 피
이 표현은 “마음을 토하고 피를 떨어뜨리다”라는 뜻이다. 고사에서 유래한 이 말은,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해 자신의 모든 정성과 노력을 쏟아붓는 것을 의미한다. 피땀을 흘려가며 온 힘을 다해 애쓰고 헌신하는 상황을 묘사할 때 주로 쓰이며, 또한 어려운 과업을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는 모습을 강조할 때에도 사용되는 표현이다.
99. 唇齿相依 (chún chǐ xiāng yī)
- 唇 (chún): 입술
- 齿 (chǐ): 이
- 相 (xiāng): 서로
- 依 (yī): 의지하다
이 표현은 “입술과 이가 서로 의지하다”라는 뜻으로, 입술과 이처럼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하나가 없어지면 다른 하나도 어려움을 겪는 관계를 비유할 때 사용된다. 주로 국가 간, 혹은 사람 간의 밀접하고 의존적인 관계를 설명할 때 쓰이며, “서로 돕고 의지하며, 하나가 없으면 다른 하나도 불리해진다”는 뜻으로, 공동체나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주로 사용된다.
100. 破镜重圆 (pò jìng chóng yuán)
- 破 (pò): 깨다
- 镜 (jìng): 거울
- 重 (chóng): 다시
- 圆 (yuán): 둥글다
옛날 중국에서 부부가 이별할 때 거울을 깨뜨리고, 다시 만나면 그 거울을 합쳤다는 이야기에서 나온 말으로, 한 번 깨진 관계나 상황이 다시 회복될 때 주로 이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별한 연인이 다시 만나거나, 깨진 관계가 회복될 때 사용 가능하다.
이상으로 중국어 관용어구(사자성어 포함) 100개를 알아 보았다. 중국어 대화시 사자성어를 섞어쓰면 중국어를 잘하는 것 처럼 보이는 효과를 줄 수 있다고 하니 꼭 여러분들도 대화속에서 자주 사용해 보길 바란다.
(이전 글 : 중국어 관용어구(사자성어) 100개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