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중국어 종류와 차이 (보통화, 광동어(홍콩), 대만어 – 번체자, 간체자 등등 대표적 중화권 언어)


중국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역사적, 정치적으로 복잡하다. 민족도 매우 다양하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중국어도 알고보면 여러가지 다른 언어로 분류될 수 있다. 가끔 TV를 보다보면 중국어를 흉내는 개그맨들이 있다. 정작 본인들은 모르지만 때로는 홍콩식, 때로는 북경식 느낌을 내면서 모방을 하곤 한다. 다 중국어라고 알고 있지만 엄연히 따지자면 조금씩 다른점들이 존재한다. 아니, 어떻게 보면 조금씩 다르다기 보다는 완전 다른 하나의 언어라고 할 수도 있겠다.

중국 대륙만해도 엄청 땅떵어리도 넓고 민족도 많아 여러가지 방언이 존재한다. 우선 이번 글에서는 각각의 지역별 방언은 접어두고, 중국대륙/홍콩/대만에서 쓰는 언어의 차이 정도만 알아보자, 사실상 이 3개의 국가(?)에서 쓰는 언어도 중국어로 통칭되고 있지만, 엄연히 다른 부분이 존재한다. 그럼 어떠한 부분이 다르고 어떠한 부분이 비슷한 지 알아보자.


번체자(繁體字)와 간체자(简体字)

중국어의 번체자(繁體字)와 간체자(简体字)는 중국어를 기록하는 두 가지 서로 다른 서체이다. 이 두 서체는 기본적으로 같은 언어를 표현하지만, 번체자냐 간체자냐에 따라 그 복잡도나 형태가 다르다.

  1. 번체자 (繁體字)
    • 역사와 배경: 번체자는 중국어의 전통적인 문자 체계로,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 서체는 중국 대륙뿐만 아니라 대만, 홍콩, 마카오, 그리고 중국어를 사용하는 해외 커뮤니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특징: 번체자는 일반적으로 획이 많고 복잡하다. 예를 들어, ‘愛’라는 글자는 ‘사랑’을 의미하며, 여러 개의 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간체자보다 획수가 많고 복잡하다.
    • 사용 지역: 주로 대만, 홍콩, 마카오에서 사용된다.
  2. 간체자 (简体字)
    • 역사와 배경: 간체자는 중화인민공화국이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문자 단순화 운동을 통해 도입한 서체이다. 이는 문맹률을 줄이고,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이 시작되었다.
    • 특징: 간체자는 번체자에 비해 획 수가 적고, 구조가 단순하다. 예를 들어, 번체자의 ‘愛’는 간체자에서 ‘爱’로 표현된다. 훨신 획수가 적고 간단하다.
    • 사용 지역: 주로 중국 대륙싱가포르에서 사용된다.

두 서체 간의 차이는 주로 글자의 형태에 있으며, 발음과 의미는 대부분 동일하다. 그러나 일부 글자는 두 서체에서 완전히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혼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龍’ (용)은 번체자로, 간체자에서는 ‘龙’으로 쓰이고 형태가 많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번체자와 간체자의 선택은 주로 지역과 문화적 배경에 의해 결정된다. 대만, 홍콩, 마카오 등의 지역에서는 전통과 역사적 연속성을 중시하여 번체자를 고수하는 반면, 중국 대륙과 싱가포르는 교육과 행정의 효율성을 위해 간체자를 사용한다.




국가별 중국어 – 중국 대륙의 보통화(普通话) / 홍콩의 광동어(粤语) / 대만의 국어 (國語)

중국 대륙, 홍콩, 대만에서 사용되는 중국어는 몇 가지 주요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 차이점들은 언어의 사용, 문화적 배경, 그리고 정치적 상황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이 세 지역에서 사용되는 중국어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각각의 지역에서 간체자(简体字)가 사용되는지 번체자(繁体字)가 사용되는지에 대해서도 한 번 알아보자.

  1. 중국 대륙의 표준 중국어 – 보통화(普通话)
    • 언어적 특징: 중국 대륙에서 사용되는 중국어는 ‘푸퉁화(普通话)’라고 불리며, 현대 표준 중국어의 기반이 된다. 이 언어는 북방 방언, 특히 베이징 방언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표준화된 발음과 문법 규칙을 가진다.
    • 발음과 억양: 중국 대륙의 표준 중국어인 푸퉁화는 명확한 4개의 성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의미를 구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马'(마, 말)와 ‘妈'(마, 어머니)는 발음이 같지만 성조가 다르다.
    • 문법과 어휘: 푸퉁화는 상대적으로 간결하고 일관된 문법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현대화 과정에서 새로운 과학 기술 및 사회적 개념을 반영하는 많은 신조어가 생겨 나기도 했다.
    • 간체자 사용: 중국 대륙에서는 1950년대부터 간체자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문자를 간략화하여 문맹률을 줄이고 교육을 촉진하기 위한 조치였다.
  2. 홍콩의 중국어 – 광동어, 위에위(粤语)
    • 언어적 특징: 홍콩에서는 주로 광동어가 사용된다. 이는 위에위(粤语)라고도 한다. 광동어는 중국어의 한 방언으로, 발음과 어휘 면에서 푸퉁화와 상당히 다르다. 홍콩 중국어는 영국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외래어가 포함되어 있으며, 자체적인 어휘와 문화적 특성을 가진다.
    • 광동어의 특수성: 홍콩에서 사용되는 광동어는 푸퉁화와 다른 고유한 발음 체계, 어휘, 그리고 문법을 가지고 있다. 광동어는 특히 그 성조가 많아 복잡한데, 그 때문에 음성적으로 더 풍부한 언어적 특성을 만들어 낸다.
    • 문화적 영향: 홍콩의 중국어는 영국 식민지 시절의 영향을 받아 많은 영어 단어가 광동어로 통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巴士'(버스)는 영어 ‘bus’에서 온 말 인것처럼 말이다.
    • 번체자 사용: 홍콩에서는 번체자를 사용한다.
  3. 대만의 중국어 – 국어(國語)
    • 언어적 특징: 대만에서 사용되는 중국어는 ‘국어(國語)’라고 불리며, 이 역시 푸퉁화와 유사한 표준 중국어이다. 하지만 발음과 어휘 면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특히 일상 대화에서 대만 특유의 어휘가 사용되기도 한다. 흡사 대략 대한민국과 북한의 언어차이 정도의 갭이라고나 할까. 우리가 북한말을 알아듣기는 하지만 어색한 것과 비슷하다고할 수 있다.
    • 대만 국어의 문화적 특징: 대만의 국어는 푸퉁화와 유사하지만, 발음, 어휘, 그리고 가끔 문법 구조에서 차이를 보인다. 대만 국어는 자체적인 어휘와 발음이 있으며, 일본의 영향을 받은 단어들이 생각보다 많다. 일본 식민지 시대의 영향으로 일본어에서 온 많은 단어들이 사용된다.
    • 번체자 사용: 대만에서도 번체자를 사용한다. 대만의 번체자 사용은 문화적 전통을 유지하는 측면이 강하며, 대만만의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한다.

답글 남기기